본문 바로가기
오라클 클라우드

(2) SSH 키 페어 생성 - 오라클 클라우드-상시 무료(Alaways Free) - 족집게 가이드

by xavi2019 2020. 10. 25.
[알림] 강의 비공개 전환
월간코딩의 월간강의를 2021년 부터 유료화로 변경합니다.
맛보기 강의를 제외하고는 보호글로 변경합니다.
문의는 help@tera.co.kr 로 부탁드립니다.

강의 보러가기

 

▶ 강의 목차

 강의 정보

  • 작성일: 2020/10/24 ~ 25
  • 위 날짜 기준으로 작성된 글이며, 향후 오라클 정책으로 인해 내용이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.

▶ 전체 강의 목표

  • 2개의 독립서버를 생성하고
  • 각 2개의 웹사이트, 총 4개의 웹사이트를 띄우고
  • 4개의 사이트에 SSL인증서를 등록하여 https 보안 접속을 하게 한다.

 

 

 

자, 회원가입도 하셨겠다, 마음이 급하시겠지만~ 차근차근 가 보겠습니다.

인스턴스(웹서버) 생성하기 전에 서버에 접속할 SSH 키를 먼저 생성하겠습니다.

 

잠시 쉬어가는 의미로

인스턴스 생성할 때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, 미리 해 놓을게요.

 

저는 맥 사용자라, 다른 운영체제는 설명을 안 드립니다~ 역시 이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SSH Key Pair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면, Pair니까 키가 2개가 생성이 됩니다. 쌍으로~

하나는 공개키(Public Key) - 하나는 개인키(Private Key)를 생성하는 과정이고~

 

개인키는 제가 가지고 있고, 공개키는 인스턴스 생성할 때(남에게 줄 때) 사용합니다.

 

참고 URL : www.oracle.com/webfolder/technetwork/tutorials/obe/cloud/compute-iaas/generating_ssh_key/generate_ssh_key.html

 

위에 나온 것처럼 아래와 같이 터미널을 열고 실행해주시면 됩니다.

ssh-keygen -b 2048 -t rsa

파일이 생성되었는지 볼게요.

ls -l id_rsa_oci*

사용자 홈디렉토리의 .ssh 폴더로 인증키를 모아 놓을게요.

mv id_rsa_oci* .ssh/

 

네 잘 생성 되었습니다.

 

확장자가 없는 파일이 Private Key

.pub 파일이 Public Key입니다.

 

파일 내용을 보겠습니다.

cat .ssh/id_rsa_oci.pub

 

나중에 이 파일의 내용을 복사하여 인스턴스 생성하는 곳에 넣으면 됩니다~

 

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.

 

 

*** 추가 ***

여러대의 맥북에서 접속하기

2021/02/09 - [오라클 클라우드/우분투팁] - 오라클 클라우드 여러 맥북에서 ssh 접속하기

 

 

▶ 강의 목차

 

 

 

 

댓글